전체 글3 직장인 점심값 지원, '든든한 한 끼' 시범사업 시작 직장인 점심값 지원, ‘든든한 한 끼’ 시범사업 출발정부가 내년도 예산안에 직장인들의 생활과 직결된 새로운 복지정책을 포함했습니다. 바로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하는 ‘직장인 든든한 한 끼’ 시범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인구 감소 지역에 위치한 중소기업 근로자 5만 4천 명을 대상으로, 매월 4만 원의 점심 식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총 79억 원의 예산이 배정되었으며, 내년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입니다.정부는 이번 지원을 통해 점심 한 끼 해결이 어려운 직장인들의 복리후생을 높이고, 근무 만족도를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습니다. 동시에 지역 내 식당과 상권을 이용하도록 유도해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기대하고 있습니다.기대되는 효과와 정책 의의현재 직장인들의 점심값 부담은 꾸준히 사회적 문제로 언급되고.. 2025. 9. 1. 2026년 예산안, 군 장병 처우와 병사 월급 동결의 의미 정부가 발표한 2026년 예산안은 총지출 728조 원 규모로, 올해보다 54조7000억 원 늘어난 대규모 예산입니다. 이 가운데 군과 관련된 예산은 22조8000억 원으로, ‘군 자긍심 고취 및 첨단군대 육성’을 목표로 다양한 개선책이 담겼습니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주목한 것은 바로 병사 월급 동결 결정입니다.급식단가 인상과 특식 확대군 장병의 급식단가가 하루 1만3000원에서 1만4000원으로 인상됩니다. 또한 지역상생자율특식 사업을 두 배 확대해 지역 업체와 연계한 특식을 늘려 장병들이 다양한 식단을 접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신형 전투피복과 전투차량 교체그동안 전방 부대에 국한되었던 신형 전투피복은 앞으로 전국 모든 부대에 확대 보급됩니다. 여기에 1000억 원이 투입되며, 전투차량 교체 사업도 기.. 2025. 8. 31. 2026년 예산안 핵심 정리 정부가 발표한 2026년 예산안은 국민 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된 다양한 지원책을 담고 있습니다. 내년 총지출은 728조 원으로, 올해보다 54조7000억 원 늘어난 규모입니다. 그중 26조2000억 원은 민생경제 회복과 사회적 기반 강화를 위해 쓰입니다.대중교통 정액패스 도입가장 큰 변화는 대중교통 정액패스입니다. 국민이 월 5만~6만 원을 내면 지하철·버스를 최대 20만 원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청년·어르신·저소득층·다자녀 가구는 5만5000원, 일반 국민은 6만2000원으로 차등 적용됩니다. 교통비 부담을 크게 줄여줄 실질적인 혜택으로, 학생과 직장인에게 특히 도움이 됩니다. 또 K-패스의 어르신 환급률을 기존 20%에서 30%로 확대해 교통약자에 대한 배려도 강화했습니다.소상공인 및 지역경제 지원.. 2025. 8. 31. 이전 1 다음